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영교 국회의원 프로필 ✔️ 고향 남편 나이 조희대

by letmebee 2025. 9. 23.
반응형

🌐 서영교 국회의원 — 논란과 의정활동, 그리고 정치 여정

 

🚨 최근 논란: 조희대 대법원장 회동설 제기

2025년 9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서영교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중랑갑)이 제기한 ‘조희대 대법원장 회동설’이 정치권의 뜨거운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서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과 함께 만났다는 현직 의원의 제보를 근거로 이 문제를 공식 질의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녹취록의 신뢰성을 두고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AI 합성 음성일 가능성이 크다”며 서 의원과 부승찬 의원을 허위사실 유포 및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고, 민주당은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개최까지 요구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 사안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닌, 사법부와 정치권의 신뢰 문제로 번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서영교 의원 프로필

  • 이름: 서영교 (徐瑛敎, Seo Young-kyo)
  • 출생: 1964년 11월 11일 (60세), 경상북도 상주시
  • 거주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 본관: 달성 서씨
  • 종교: 불교
  • 가족: 어머니 이영자, 배우자 장유식, 아들 장정환, 딸 장보윤

SNS 활동도 활발히 이어가고 있으며, 페이스북·인스타그램·X(구 트위터)·유튜브·네이버 블로그·카카오톡 채널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소통하고 있습니다.


🎓 학력

  • 서울중곡국민학교 졸업
  • 면목여자중학교 졸업
  • 혜원여자고등학교 졸업
  •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과 학사
  •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동아시아학 박사 과정 수료
  •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KNA 최고위과정 수료

🏛️ 정치 경력과 주요 활동

  • 이화여자대학교 총학생회장
  • 열린우리당 서울시당 여성위원회 위원장
  • 대통령비서실 보도지원비서관 겸 춘추관장(참여정부)
  •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희망캠프 유세본부 본부장

국회의원 경력

  • 제19대 국회의원 (서울 중랑구 갑, 민주통합당)
    • 민주통합당 원내부대표
    • 제18대 대선 문재인 후보 공동유세단장
  •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중랑구 갑, 더불어민주당)
    • 원내수석부대표
    • 국회운영위원회 간사
  • 제21대 국회의원 (서울 중랑구 갑, 더불어민주당)
    •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제22대 국회의원 (서울 중랑구 갑, 더불어민주당)
    • 더불어민주당 중랑구 갑 지역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명태균 게이트 진상조사단장
    • 노동존중실천국회의원단 단장
    •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정권 관선선거 저지 대책위원장

📌 의정활동과 최근 성과

  1. 법제사법위원회·여성가족위원회 활동
    법사위에서 굵직한 현안들을 다루며, 최근에는 사법부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했습니다.
  2. 민생 및 지역 활동
    지역구 중랑구에서는 교육, 환경, 교통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영주시 납공장 설립 불허 사례처럼 환경·건강 이슈에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3. 입법 활동
    조세특례제한법, 소년법 일부 개정안 등 다양한 법안을 대표 발의하며 입법 성과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

 

서영교 의원은 이번 조희대 대법원장 회동설과 관련해 청문회 개최를 통한 진상 규명에 힘쓸 것으로 보입니다. 동시에 국민의힘의 고발 건에 대응하면서도, 지역 민생과 입법 활동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특히 법사위 내에서의 역할이 확대될 경우, 사법부 개혁 및 정치적 투명성 강화를 위한 목소리를 더 높일 가능성이 큽니다.


✨ 맺음말

 

서영교 의원은 4선 국회의원으로서 중앙정치와 지역구 현안을 동시에 책임지고 있습니다. 최근 논란으로 정치적 부담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민주당 내에서 사법 개혁과 권력 감시의 상징적 역할을 맡으며 영향력을 넓히고 있습니다. 앞으로 그녀의 행보가 단순한 논란으로 끝날지, 정치적 전환점이 될지는 지켜봐야 할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