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과 소신의 길, 그리고 가정의 품에서 –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과 이경아 여사 이야기
대한민국 사법부의 한 축을 담당했던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文炯培, Moon Hyung-bae)은 2025년 4월, 6년간의 재임을 마치고 시민의 자리로 돌아갔습니다. 그는 판사로, 재판관으로, 그리고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으로서 시대의 굵직한 사건을 마주하며 헌법 수호와 정의 실현에 앞장섰습니다. 동시에 그의 곁에는 늘 조용히 내조하며 함께 걸어온 아내 이경아 여사가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 전 재판관의 생애와 사법 철학, 그리고 부부의 삶을 함께 조명해보고자 합니다.
📌 문형배 전 재판관 프로필
- 출생: 1965년 2월 2일 (60세),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 본관: 남평 문씨
- 가족: 아버지 문재열, 어머니 전말순 / 배우자 이경아, 아들 1명
- 종교: 무종교
- 학력: 북천국민학교 → 북천중학교 → 대아고등학교(15회)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 병역: 육군 중위 전역 (1989.5.27 ~ 1992.2.29)
⚖️ 법조인으로서의 길
- 제28회 사법시험 합격
- 제18기 사법연수원 수료
- 부산지방법원 판사 → 부장판사 → 창원지법 진주지원장 → 부산고등법원 부장판사
- 제4대 부산가정법원장 (2016~2018)
- 부산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
- 헌법재판소 재판관 (2019~2025, 문재인 대통령 임명)
-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2024.10~2025.4)
문 전 재판관은 특히 헌법재판소에서의 6년 동안 굵직한 사건들을 다뤘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심판 과정에서는 “대통령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다”는 발언을 남기며, 권력자 앞에서도 소신을 굽히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퇴임식에서는 “편견과 독선이 자리 잡지 않도록 끝까지 스스로를 경계했다”는 말을 남겼으며, 헌재를 떠나 “이제는 시민으로 돌아가 응원하겠다”는 담담한 소회를 전했습니다.
🏡 퇴임 후 삶과 계획
2025년 4월 퇴임 이후 문 전 재판관은 고향 부산에서 가족과 함께 지내고 있으며, 정치권 진출이나 로펌 영입 제안에는 선을 긋고 있습니다. 대신 “비수도권 로스쿨 강단에 서는 것”을 고민하며 후학 양성의 길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자신을 후원했던 김장하 선생을 6년 만에 찾아뵈며 “은혜를 잊지 않는 사람”으로서의 따뜻한 면모도 보여주었습니다.
👩🦰 아내 이경아 여사 – 든든한 내조자
문 전 재판관의 곁에는 늘 아내 이경아 여사가 있었습니다.
- 테니스 선수 출신으로, 지금도 남편과 함께 테니스를 즐기며 지역 대회에 참가하기도 합니다.
- 2019년 헌법재판관 임명장 수여식, 2025년 퇴임식 등 공식 석상에서 남편과 함께하며 조용히 내조하는 모습이 언론에 비쳤습니다.
- 2022년에는 부산 동래구 아파트 일부와 김해 토지를 부친으로부터 증여받았으며, 이는 부부 재산 공개 과정에서 알려졌습니다.
- 부부 사이에는 아들 한 명이 있으며, 이경아 여사는 ‘우아한 외모와 품격 있는 태도’로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습니다.
👫 부부의 여정
문 전 재판관이 냉철한 법관의 길을 걸어왔다면, 이경아 여사는 따뜻한 가정의 울타리가 되어주었습니다. 특히 두 사람이 함께 즐기는 테니스 취미는 단순한 운동을 넘어 부부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해주는 매개가 되었습니다.
공식 석상에서 보여주는 두 사람의 모습은 화려하지 않지만, 오히려 담백하고 단단한 믿음이 전해집니다.
✨ 마무리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은 권력에 휘둘리지 않고 소신 있는 판결로 주목받은 법관이었습니다. 그는 재판관직을 내려놓은 지금도 헌법적 가치와 사회 정의를 지켜나가려는 의지를 놓지 않고 있습니다.
그 곁에는 늘 묵묵히 함께해온 아내 이경아 여사와 가족이 있었기에, 그가 걸어온 길이 더욱 의미 있게 빛나는 것이 아닐까요?
앞으로는 교수, 멘토, 시민으로서의 삶을 살아갈 그의 발걸음이 기대됩니다.